10 기적의 뇌 사용법 자막
<기적의 뇌 사용법> 마크 티글러 지음, 김경섭·최인식 옮김, 김영사 저자 소개 : 마트 티글러(Mark Tigchelaar) 뇌 과학 분야의 권위 있는 학자이자 뇌 효율 훈련 전문가. 70,000명이 넘는 사람들에게 여러 가지 뇌 활용 기법을 강의함. 이 책을 1/4의 시간으로 더 잘 독해하는 방법 책의 차례를 읽습니다. 책을 훑어봅니다. 책에 굵은 글자체로 된 제목과 단어, 그림과 도표에 유의합니다. 이 책의 내용을 얼마만큼 알고 싶은지 결정합니다. 반드시 바른 자세로 책을 읽습니다. 독서대나 노트북 거치대를 사용해서 책을 편한 각도로 펼쳐봅니다. 책은 눈에서 약 40cm 정도 거리를 두는 것이 좋습니다. 읽을 때 한 번에 60분 이상 읽지 않습니다. 한 번 읽을 때마다 짧은 휴식을 취하고 쉬는동안 방금 읽은 내용을 요약합니다. 읽을 때 항상 옆에 형광펜을 준비해놓습니다. 명사 위주로 밑줄을 긋습니다. 페이지 여백에 메모해 둡니다. 각 장을 읽고 나면 읽은 부분을 가볍게 다시 훑습니다. 밑줄 그은 단어 위주로 읽습니다. 각 장을 읽은 다음 요약하는 습관을 들입니다. 마인드맵 형식으로 요약하면 좋습니다. 읽은 다음 날, 사흘 뒤, 그리고 일주일 뒤에 요약한 내용을 복습합니다. 활용할 팁과 기법을 간단히 기록합니다. 그 팁과 기법을 사용해봅니다. 유연한 뇌 뇌는 유연하다 뇌는 더 많이 사용할수록 기능이 더 향상된다. 뇌운동, 뇌근육 모든 것은 습득된 기술이다. 속독 빨리 읽을수록 이해력이 떨어진다 아니다 빨리 읽을수록 이해력이 올라간다. 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속도와 연관이 있다. 빨리 읽을수록 머리에 잡념이 없어진다. 이해하기 쉬운 정보는 좀 더 빨리 읽고 복잡한 정보는 조금 더 천천히 읽는 것이 좋다. 속독을 하는 사람들이 더 똑똑하다. 사용효과가 영구적, 눈을 훈련하게 되면 즉시 효과를 본다. 한 시간 안에 읽기 속도를 두 배로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영구적인 효과의 비밀은 바로 시선 유도. 노트필기 마인드 맵 - 토니 부잔 개발 정보를 효과적으로 기억하는 방법은 정보를 계층적으로 정리하는 것. 눈을 감으면 도표가 들어온다. 계층에는 상위개념과 하위개념 - 이미지 : 그림이 있는 신문기사를 더 잘 기억 - 핵심단어 필기 : 다른 사람이 해주는 필기보다 자기가 직접 필기하는 것이 훨씬 큰 도움 - 마인드맵 기법 : 뇌가 자연스럽게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도식으로 필기하는 방법 전체적인 그림을 볼 수 있다. 한 장소에 여러 가지 정보를 기록 어떤 정보가 서로 연관되어 있는지 볼 수 있다. 중요한 것과 아닌 것 구분 개별적인 정보가 어떻게 연결되는지 알 수 있다. 활용은 초록작성, 프리젠테이션, 프리젠테이션 내용 필기하기, 브레인스토밍, 계획 짜기, 글쓰기, 암기하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정보를 구조화하기 위해 핵심단어 위주로 적고, 가능하다면 옆에 기호를 같이 쓰는 것이 좋습니다. 기억술 기억은 뇌세포가 연결되는 과정에서 형성된다 . 뇌세포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기억은 뇌세포 사이의 특정 연결고리가 강화됐을 때 생성된다. 단기 기억은 몇 분 이내로 사라지고, 장기 기억의 연결고리는 거의 영구적으로 강화됨 기억의 종류 감각기억-모든 감각정보는 감각 기억 속에 약 1-2초 저장, 3초가 지나면 기억 속에서 사라짐 단기 기억-작업 기억. 몇 분 동안 정보를 기억하고 약 일곱 가지의 항목을 기억하는 용량. 장기 기억-오랫동안 기억됨. 기억하는 순서 정보를 제대로 기록하는 것에서 시작, 몰입해서 듣는 것 내용을 계속 반복하는 것 정보를 불러오는 것 1단계: 정보의 요점 파악하기 - 핵심단어 위주로 생각 2단계: 정보를 핵심 이미지로 변환하기 - 시각화 3단계: 핵심이미지를 익숙한 사물과 연관 짓기 에빙하우스 Ebbinghaus 20분이 지나면 배운 내용의 40%를 잊는다. 하루가 지나면 배운 내용의 33%밖에 생각나지 않는다. → 해결책은 주기적 반복 1. 약 30분 후에 2. 약 세 시간 후에 3. 하루에 한 번 4. 매일 5. 일주일에 한 번 6. 매주 7. 한 달에 한 번 8. 매월 최고의 복습방법 기억만으로 마인드맵 작성하기 숙제 완성하기 반 친구와 토론하기 주제와 관련된 영화 감상하기 방금 배운 단원 훑어보기 기억술로 복습하기 배운 내용을 다른 사람에게 설명하기 반 친구들에게 배운 내용 발표하기 배운 내용에 대한 퀴즈 만들기 배운 내용의 요점을 큰 소리로 말하기